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새싹보리 효능과 키우는 법 그리고 먹는 방법 (feat.다이어트)
    건강하기/보조식품,영양제 2020. 3. 6. 20:47
    반응형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특히 장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던 와중 새싹보리분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있습니다.

     

    새싹보리의 효능과 먹는방법 그리고 새싹보리 키우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새싹보리란 보리의 씨앗에서 싹이 난 다음 10센티미터 이상 혹은 싹이 난 후 6~8일 정도 지난 보리의 애기입니다. 다 자란 보리보다 애기 보리인 새싹보리가 더욱 많은 영양소를 가지고 있어 주목되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새싹보리를 편하게 섭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새싹보리분말로 나오기도 하고 알약의 형태로 된 제품이 있기도 합니다.

     

    새싹보리 키우는 법

     

    새싹보리 키우는 법은 새싹보리의 씨앗을 준비한 후, 씨앗이 잠기도록 물을 부어주고 1일 동안 담궈둡니다. 그 후 화분으로 옮겨서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발아를 기다리시면 됩니다.

     

    새싹보리의 효능

     

    1) 변비예방

    새싹 보리의 효능 중 가장 큰 이점은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있어 변비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것입니다. 새싹 보리에는 고구마의 20배에 해당하는 식이섬유가 있어, 쾌변을 못해본지 오래된 분들에게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2) 혈관청소와 간 건강

    새싹보리의 두 번째 효능으로,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춰주는 폴리코사놀 성분입니다. 기름진 음식을 즐겨먹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적합한 음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혈관건강을 개선시켜주기 때문에 당뇨병, 동맥경화증 등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줍니다. 폴리코사놀은 중성지방 생성과 합성을 막고 지방분해에 높은 효능을 보입니다. 폴리코사놀은 피를 맑게 해줄뿐만 아니라 간 건강에 도움을 줍니다.

     

    3) 당뇨예방

    새싹보리의 세 번째 효능으로, 당뇨예방입니다. 새삭보리의 뿌리에 포함되어있는 사포나린과 베타클루칸 성분이 혈당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여 인슐린 분비를 조절해줄 수 있습니다.

     

    새싹보리의 효능 3가지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이것 이외에도 피부미용 개선, 우울증과 스트레스 개선 등의 효과가 있으므로 새싹보리를 잘 챙겨드시면 굉장히 좋을겁니다!

     

     

    새싹보리 먹는 방법

     

    새싹보리 먹는 방법은 최근에 새싹보리분말로 많이 출시되어 있어서 분말로 즐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새싹보리 알약, 새싹보리환, 새싹보리차 등 다양한 형태로 판매중이므로 기호에 맞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 새싹보리분말의 형태로 섭취하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물에 타서 생식처럼 섭취해도 좋고 우유와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 요플레 등에 새싹보리 분말을 곁들여 간식처럼 드셔도 좋습니다. 새싹보리차보다는 따뜻한 물에 새싹보리분말을 풀어드시는 것이 더 좋으며, 하루 2 티스푼 10g 이내로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새싹보리 분말, 바나나, 우유와 함께 믹서에 갈아서 드시면 맛있습니다.

     

    새싹보리 부작용

     

    아무리 효능이 좋은 음식이라 하더라도 많이 드시면 좋지는 않습니다. 너무 많이 드실 경우 설사나 복통이 생길 수 있으니 하루 권장량인 10g 이내로 드시면 좋겠습니다.

     

     

    새싹보리분말을 구매하실 때, 안전성 검사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19년 6월 경 새싹보리분말 5개 제품에서 대장균과 쇳가루 금속 이물질 등이 검출된 것이 발견됐었습니다. 특정 제품을 언급할 수는 없으나, 해당 내용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신 후 새싹보리분말을 구매하시길 바랍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